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PMAC
- rs-232
- c# build date
- ION Gauge
- rs-485
- pressure
- Gas box
- Polling
- melsec
- pc제어
- 자동제어
- 드라이에쳐
- RS232
- 가스
- gauge
- CDG
- Helium
- MelsecNet-G
- 시리얼통신
- HI-Vacuum
- MODBUS
- hivac
- VACUUM
- Dry etcher
- REGULATOR
- 폴링
- 설비제어
- DATAGRIDVIEW
- cluster
- 레귤레이터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plasma (1)
진공에 대해 알려주마.

PLASMA내가 아는 플라스마(Plasma)는 단순 빛이다. 모든 것이 준비된 챔버에 필요한 가스를 흘려 넣고 RF Generator를 켜면 챔버에 밝은 빛이 발생한다. 가스와 RF의 출력에 따라 색깔과 밝기가 다르긴 하지만 파스텔톤의 밝은 빛이다. 프라즈마 이론은 아래의 사이트에 아주 잘 설명되어 있다.https://m.blog.naver.com/jgw1030/221171512475이 빛을 이용하여 기판에 미세한 구멍을 내거나 표면을 깎아내면 Etching, Target의 표면을 뜯어내 기판에 입히면 Sputter, 그리고 가스의 반응을 가속시키는 일도 한다. 여기서는 식각을 주로 이야기하겠다. 프라즈마를 이용하여 식각에 사용되는 단위는 Å (Ångström, 옹스트롬)이고 1 옴스트롬은 아래와..
진공/진공
2020. 7. 26. 23:50